최근 누구나 다 아는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에서 사내 CCTV가 해킹당해 회사 내부 모습이 노출되는 사건이 있었어요. 또한 송유관 운영회사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시스템이 마비되어 수많은 자동차가 연료를 공급받지 못해 대 혼란에 빠지는 사태도 발생했었는데요. 두 사건 모두 해킹으로 벌어진 일이라고 알려졌어요. 해킹 사고는 주로 SW(소프트웨어) 보안취약점을 경로로 공격하는데 개발자들은 이러한 해커들의 공격을 방지하기위해 시큐어 코딩을 사용해요. 시큐어 코딩은 해킹 또는 사이버 공격의 원인인 보안 취약점을 제거해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sw 개발 기법을 말하는데요, 개발자의 실수나 논리적인 오류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여 대응할수 있어요. 오늘은 이에 해당..